반응형

 

 

 

 

#나의 아파트 이야기, 제1탄 

#주택 청약 당첨되기

 

 

1. 청약을 넣다 

2019년 12월 19일

 -  팔달 6구역 재개발,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 일반 1순위 청약일

 

 

2. 당첨되다

2019년 12월 27일

 

자정이 지나고 같이 청약을 넣었던 회사 동기 Y가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 청약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며 카톡을 보내왔다. 내 인생 첫 청약이기도 했고, 회사 선배님들 얘기에는 '절대 될 리 없다~ㅋㅋ 이때까지 몇 번을 넣어봤는데 다 떨어졌다~~ 그냥 경험 삼아 넣어봐라'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에 동기가 당첨되었다는 얘기를 듣고 당연히 안됐을꺼야~ 하며 APT2you 앱을 켰다.

 

그런데 당첨....?!.....??!?!?!?!?

 

 

 

 3. 당첨된 이유 

아파트 청약도 전략이다. 사실 전략일 거라 할 만한 것도 없지만, 난 준비가 되어있었고 알맞은 선택을 하였다.

 

준비 1. 청약 통장

대학교 3학년 여름 즈음 청약 통장을 개설하고 매달 10만 원씩 용돈을 받는 날 바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자동 이체를 걸어 놨었다. 26살 이였던 청약을 넣을 당시에 청약 예금은 가입 후 4년이 넘었었고 400만 원이 넘는 원금을 지니고 있었다.

 

준비 2 :  청약 신청 자격 1순위

힐푸수 모집 공고 신청자격을 확인해보면

-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은 가점제 40%, 추첨제 60%

- 수원시 1년 이상 계속 거주자

- 청약 저축 공고일 기준 1년 이상

- 납입인정금액 200만 원 이상 (조정지역 당시 민영주택 청약 예치금 기준금액)

- 무주택 세대주

이다. 해당 자격들을 모두 만족해야 청약에서 1순위가 될 수 있다. 거주 요건과 같은 조건들은 만족하지 못하더라도 1순위 청약을 당시에는 신청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당첨이 되더라도, 당첨 후 자격 심사를 하는 경우에 부적격 판정이 난다면 그 기회는 줍줍러 분들에게 돌아가게 된다.

 

직접 청약 공고를 읽어보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청약 요건 1순위이나 분양가, 옵션가를 직접 확인하고 자신의 재무 상황에 맞게 어느 타입의 주택에 청약을 넣을지 계획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분양가 조차 확인하지 않고, 덜컥 자신의 자산 상황에 맞지 않는 청약에 당첨되어버린다면 (물론 힐푸수는 전매제한 이후 팔 수도 있지만) 아까운 청약 통장을 날리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파트 계약 중도금 계약을 할 당시 내 차례를 기다리며 앞사람의 얘기를 어쩌다 보니 엿듣게 되었는데 '전 무직이고 돈이 없는데요'라는 얘기를 행원께 하였더랬다. 아마 그분은 전매제한 이후에 아파트를 처분하지 않으셨을까 싶다.

 

힐스테이트_푸르지오_수원.pdf
0.87MB

 

 

그리고 알맞은 평형의 선택, 59B

 

힐푸수 공고문을 살펴보면 주택 공급 금액은 아래와 같다.

주택형

세대수

분양가 (5층 이상)

49

118

385,000,000

59A

91

486,000,000

59B

419

477,000,000

74

231

537,000,000

전용 49㎥은 15평 정도로 내가 평생 살 집으로는 작겠다 라고 생각해서 PASS

 

전용 74㎥는 22평,

분양가 10%인 계약은 5300만 원까지는 영혼까지 끌어모으면 괜찮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하지만 취직을 한지 갓 1년에 열심히 해외여행 다니느라 다른 동기들에 비해 모은 돈도 적었다. 그리고 계약금을 여차저차 영끌해서 냈다 하더라도 나중에 입주 때를 생각하면 5억 4천만 원 + 옵션 비용까지 6억은 나에게는 너무 버거운 액수였다. 그리고 2번째는 취득세율. 74가 당첨됐을 경우 매매가는 분양가 + 옵션가로 결정이 된다. 난 투자용이 아닌 거주용 주택을 청약할 것이기 때문에 거주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옵션들을 제외시킬 계획이 없었다. 그렇게 된다면 총 주택 가격은 6억이 초과할 가능성도 있었고 그렇게 된다면 아파트가 다 지어진 후 취득세율이 달라지게 된다. 매매가 6억 이하 주택의 취득세율은 1%이나, 6억 초과 시에는 2%로, 취득세로 1200만 원을 내야 하는 게 사회초년생 시니비에게는 버겁게 느껴졌다.

그리하여, PASS

 

전용 59㎥는 19평,

나의 재정상황을 살펴본 결과 나에게는 59가 적격이였다. 하지만 A를 할지 B를 할지도 굉장히 큰 고민이 되었다. 

 

 

 

59A 판상형으로 3 bay를 가진다. 3 bay란, 방 3개가 남쪽을 향해 있다는 말이다. 판상형은 환기를 시킬 때도 부엌 ↔거실 창문을 열면 위아래로 맞통풍이 불게 되고 환기에 유리하다.  

 

 

 

 

 

 

 

 

 

59B 형은 판상형으로 사실 내 취향 기준 A 보다 구조가 낫다고 할 수 없다. 물론 부엌도 거실처럼 사용할 수 도 있는 장점도 있지만 거실과 가장 큰 침실이 남쪽을 향하는 2 bay에, 통풍에는 당연히 불리하다 할 수 있고, 현관 앞 복도가 버려진다는 느낌을 버릴 수가 없다. 

 

하지만 그럼에도 난 59B를 선택하였다. 

공고문의 59A 공급 세대수는 91인 반면 B는 419이다. 그렇다면 경쟁률로 보자면 당연 4배의 공급인 B 타입 아니겠는가. 물론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 알 수 없지만, 나는 나의 취향보다는 가능성을 바라보았다. (당첨 후 모델하우스에서 59를 직접 보니 부엌+거실을 함께 사용하여 큰 거실을 쓸 수 있다는 점이 나에게는 굉장히 큰 장점으로 다가왔다. 그래서 일부러 아일랜드는 버리려고 따로 옵션을 추가하였다.)

 

 

 

난 청약에 당첨된 지 1년이 지난 지금도, 미리 준비를 해 놓았기 때문에 그리고 선택을 잘하였기 때문에 청약 당첨이라는 행운을 가질 수 있었다고 한다.

 

4.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 경쟁률

지금 호갱 노노 앱에서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 (이하. 힐푸수) 청약 1순위 경쟁률을 보면 55:1이라고 한다. 내가 55명 중에 1명이라니?!?!? ㅎㄷㄷ 하지만 처음 당첨되고 apt2you 앱에서 경쟁률을 확인했을 때는 32:1 이였다. 나머지 20명은 어디서 나타난 것이란 말인가?

 

 

 

이는 기타 지역 청약 지원자가 포함이 됐느냐 아니냐에 따라 숫자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32:1은 수원 지역에 거주하는 청약 1순위 거주자들과의 경쟁률이라고 할 수 있고, 55:1은 수원 + 기타 지역 인원들까지 포함하는 경쟁률이라고 할 수 있다. 힐푸수는 전 타입  당해 마감으로 실질적인 59B 타입 경쟁률은 32:1이고 기타 지역 사람들은 청약에 당첨될 기회조차 얻지 못한 것과 마찬가지다. 이 블로그를 참고함

 

내집마련 만26세에 성공한 후기

2019년 12월, 힐스테이트 푸르지오 수원 청약에 운좋게 당첨되었다. 최근 투자 커뮤니티에서 후기를 공유하...

blog.naver.com

 

 


 

더보기

이렇게 난 2022년에 1 주택자가 될 수 있게 되었다. 정답은 간단하다. MONEY와 READY.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하다. 1순위 청약 당일에도 어차피 안될 거지만 꼭꼭 넣으라고 오전에도 점심 먹으면서도 오후에도 말씀해주시던 파트 선배님, 다들 첫 청약이라 잘 몰라 같이 고민해주던 동기 친구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청약통장을 대학생 때 만들라고 이야기해주신 오늘도 생색내던 우리 아빵♡ 에게. 아, 진짜 제일 중요한 계약금 부족한 돈 빌려준 우리 언닝♡

 

 

 

반응형
반응형

 


[ Avenue Q ]
Avenue Q는 2013년 Off-broadway 초연을 시작으로 큰 호평을 얻었고 같은 해 Broadway로 옮기며 John Golden Theatre에서 공연되었다. 2014년에 토니 어워즈에서는 총 6개 부문에 nominate 되며 Best Musical, Best Original Book, Best Original Score를 수상하였다.

 

Tony Awards, Best Musical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뮤지컬 넘버인 Defying Gravity를 가진 Wicked 제치고 Best Musical를 토니 어워즈에서 수상한 뮤지컬이 바로 Avenue Q라는 얘기이다. (동시에 "가장 짜증나는 토니 수상 내역"을 주제로 하는 많은 사설들에서 상위에 랭킹 되며 회자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그리고 현재까지도 Wicked가 성황리에 공연되고 있다는 점에서 Wicked가 상을 탔어야 한다고 얘기한다.)

Avenue Q는 2009년 9월 13일까지 Broadway에서 22번의 프리뷰와 2534의 번 공연되었고, 같은 해 10월 Off-broadway의 New World Stages로 옮겨 10년 넘게 여러 cast 들과 공연되었다. 그리고 2019년 5월 26일을 끝으로 16년 동안의 뉴욕에서의 공연은 막을 내렸다.

 

 

[ 후기 ]
2010년대 고등학교 학창 시절을 지나오며, 내가 가장 좋아했던 뮤지컬 앨범이 무엇이냐?라고 물으면 당연 Avenue Q 라고 대답할 것이다.신나는 넘버 뿐 아니라, 톡톡 튀는 목소리까지! 그 당시에는 내가 뮤지컬을 접할 수 있는 통로는 오직 음원이었기 때문에 재밌는 가사와 독특한 배우들의 목소리는 너무나도 매력적이었다.

 

그런 나에게 대학생이 되고 난 후, 드디어 Avenue Q를 볼 기회가 얻게 되었다. Avenue Q가 한국으로 내한을 온 것이다. 소리 질러~~~🥳🥳🥳 그렇게 난 나의 첫 내돈내산 뮤지컬 공연을 20살 10월에 맞이할 수 있었다. 게다가 그 공연이 Avenue Q 라니!! 용돈 받아 한 달 살이 하는 대학생이었기 때문에 VIP 석에서 보는 것은 너무나도 고민이 되었어서, 뮤린이에게 알맞은 - 티켓을 지금 보관하고 있지 않아서 정확히는 기억 안 나지만 - 2층으로 올라갔다. 

 

그리고 2017년 3월, 나의 2번 째 Avenue Q도 그리 멀지 않게 찾아왔다. 금요일에는 항상 오후 12시 퇴근했는데 친구가 점심을 먹자 해서 어쩌다 보니 New World Stage를 지나게 됐다. New World Stage 건물 벽에 붙어있던 Avenue Q 포스터를 보고 평일이고 믿져야 본전이니, 스윽- box office에 들어가서 남은 rush ticket이 있는지 물어봤다. 그런데 오 w_0_w. 오후 시간에도 티켓을 살 수 있었다니, 인기 넘쳐나는 브로드웨이 뮤지컬들에 비해서는 인기가 좀 덜한가 보다 했다. 그런 데다가 A 열 정중앙 좌석..! 27불에!! 1열 정중앙 좌석이 3만원이라니!!! 얼마나 Lucky 한 하루였던 걸까? 그 당시에는 다행히 일기를 매일매일 많이 적었을 때라 나의 감상평이 조금이나마 남아있었다.

3월 3일
23시 13분 (#14C) 오늘은 무척이나 좋다! 왜냐면 Avenue Q를 봤기 때문이다. 공연을 보는 내내 미소가 얼굴에서 떠나지 않았다. 메인 배우도 너무 잘생겼고, Katie 연기하던 흑인 여배우도 정말 이쁘고 노래도 잘 부르고, Christmas Eve 역할 아시안 배우도 노래를 정말 잘하시더라. Standing Ovation을 하고 싶었는데 패딩이랑 다른 사람들이 주변에서 안 일어나길래 쫄보라 나도 일어나지 못했다ㅠㅠ 배우분들께 너무 죄송스러웠다. 내 왼쪽에 앉아계시던 분은 1부가 끝나고 나가시더니 다시 자리로 돌아오시지 않았다. 바쁜 일이 있으셨던 것일까? 아니면 시대에 맞지 않는 인종차별 농담을 하는 이 공연이 맘에 들지 않았더 것일까? 물론 "Everyone's a little racist"는 인종차별을 행하는 사람들의 이중성을 보여주는 노래임과 동시에 모두가 원래 인종차별을 조금씩 자신도 모르게 하고 있기 때문에 뭐, 괜찮아.라고 말하는 노래라고도 볼 수 있다. 어렸을 때는 이 노래를 접하면서 느끼지 못했지만, 요즘은 가끔 이 노래를 들을 때 그래서 인종차별이 괜찮다고 정당화하는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내가 20살에 처음 Avenue Q를 봤을 때와 지금 느끼는 바가 조금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이하 중략) 오늘 회사 끝나고 바로 집으로 와서 운동도 하고 좀 일찍 쉬고 싶었는데, 그래도 약속에 갔기 때문에 Avenue Q를 볼 수 있었어서 좋다. 아니었으면 그곳 옆을 지나가지도 않았을 거고 Rush 티켓을 사지도 못했을 꺼니깐.

 

20살 이전까지는 전혀 느껴보지 못했던 인종차별을 실제로 느껴보니, "Everyone's a little racist"라는 노래를 들을 때마다 사실 기분이 조금 이상해지긴 한다. 내가 당했던 인종차별(judgements)을 누군가가 여전히 이런식으로 자신의 비도덕적인 행위를 정당화하지 않을까 싶어서 말이다. 그리고 이민 2세 일본인으로 나온 Christmas Eve가 유창하지 못한 발음으로 극중 내내 나오는데, 이를 희화화하면 극중에서 사용한다는 것도 아시안으로서 괜히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난 Avenue Q를 보고 행복해했다. 한국 내한 공연을 봤을 때도, 그리고 뉴욕에서 다시 공연을 보았을 떄도 말이다. 한국 공연을 봤을 때는, 정말 이거 두개는 정말 또렷히 기억난다. 인터미션 떄 중간고사 준비로 부족한 잠을 잠시 자다가 2부 앞 부분을 놓쳐서 굉장히 아쉬워 했던것. 이 바보야 바보야. 여기서 자다니하는 생각을 계속 하였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공연이 끝나고 공연장을 나오면서 느꼈던 감정. "아 이것이 행복이라는 건가? 난 굉장히 행복하다 지금" 너무 기쁘고 즐거웠다. 평소에 음원으로 몇날 몇일, 몇년을 듣기만 했던 노래를 실제로 듣고, 그 뮤지컬 공연을 직접 봤다는 사실이 나에게는 너무나도 큰 행복감을 주었다. 여전히 난 뮤린이이긴 하지만, 어쩌면 나의 첫 내돈내산 뮤지컬 공연을 잘 선택했기 때문에 7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뮤덕린이로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퍼펫을 들고 연기하는 배우와 담당 퍼펫의 합과 표정 연기를 실제로 보는 것은 너무 재밌다. 인형극을 성인이 되어서도 이렇게 재밌게 볼 수 있다니. 

 

 

 

[ 뮤지컬 넘버 ]

 

- Act I -

"The Avenue Q Theme" | 애비뉴 Q 테마 - Company

"What Do You Do with a B.A. in English?" | 영문과를 나와서 뭘 할 수 있나 – Princeton

"It Sucks to Be Me" | 엿 같은 내 인생 – Brian, Kate, Rod, Nicky,Christmas Eve, Gary Coleman, Princeton

"If You Were Gay" | 네가 게이라도 – Nicky, Rod

"Purpose" | 목표 – Princeton, Ensemble

"Everyone's a Little Bit Racist" | 모두가 조금씩은 인종차별주의자 – Princeton, Kate, Gary, Brian, Christmas Eve

"The Internet Is for Porn" | 인터넷은 야동용 – Kate, Trekkie Monster, Brian, Gary, Rod, Princeton

"Mix Tape" | 녹음 테이프– Kate, Princeton

"I'm Not Wearing Underwear Today" | 오늘 난 노팬티 – Brian

"Special" | 스페셜 – Lucy

"You Can Be as Loud as the Hell You Want (When You're Makin' Love)" | (사랑을 나눌 땐) 마음껏 소리 질러 – Gary, Bad Idea Bears, Princeton, Kate, Brian, and Christmas Eve

"Fantasies Come True"  | 꿈은 이루어져 – Rod, Kate, Princeton, Nicky

"My Girlfriend, Who Lives in Canada" | 캐나다에 사는 내 여자친구 – Rod

"There's a Fine, Fine Line" | 겨우 종이 한 장 차이 – Kate

 

- Act II -

"There Is Life Outside Your Apartment" | 집 밖에 진짜 인생이 있다 – Brian, Princeton, Christmas Eve, Gary, Nicky, Trekkie Monster, and Lucy

"The More You Ruv Someone" | 사랑하면 할 수록 – Christmas Eve and Kate

"Schadenfreude" | 샤덴프로이데(남의 불행은 나의 행복) – Gary and Nicky

"I Wish I Could Go Back to College" | 다시 대학교로 돌아가고 싶어 – Kate, Nicky and Princeton

"The Money Song" | 머니송 – Nicky, Princeton, Gary, Brian and Christmas Eve

"School for Monsters" | 몬스터를 위한 학교 – Trekkie Monster

"The Money Song" (Reprise) | 머니송(Reprise) – Nicky, Princeton, Gary, Brian and Christmas Eve

"There's a Fine, Fine Line" (Reprise) | 겨우 종이 한 장 차이(Reprise) – Princeton and Kate

"What Do You Do With a B.A. in English?" (Reprise) | 영문과를 나와서 뭘 할 수 있나?(Reprise) – Newcomer

"For Now" | 잠시뿐 – Kate, Brian, Gary, Princeton, Nicky, Rod, Christmas Eve, Trekkie Monster, Lucy, Bad Idea Bears, Company



 

 


[ 시놉시스 ] 수정 중....

 

- Act I -

 

♬  "The Avenue Q Theme"

 

대학교를 갓 졸업한 사회 초년생 프린스턴은 불투명한 그의 삶의 목표와 직장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What Do You Do with a B.A. in English?"

 

Avenue Q 이웃 주민들을 간략히 소개하자면 유치원 보조 교사 Kate Monster, 투자전문가 Rod(게이), Rod의 룸메이트 Nicky, 코미디언 지망생 Brian, Brian의 일본인 약혼녀이자 상담사이지만 고객이 없는 Christmas Eve, 야동순재 Trekki Monster, 아파트 관리인 Gary Coleman이다.

 

프린스턴은 Avenue A부터 시작하여 그가 살 곳을 알아보지만 그가 감당할 수 있는 곳은 B, C... P Avenue를 지나 Avenue Q 정도였다. 프린스턴이 Avenue Q에 도착하였을 때 이웃 주민들은 서로 자신의 자신의 삶이 더 짜증난다며 브라이언부터 시작하여 케이트  로드와 니키  크리스마스이브 순으로 이야기하지만, 이웃들은 빈 방을 구한다는 프린스턴의 말에 나타난 아파트 관리자인 Gary Coleman의 삶이 가장 짜증난다고 결론을 내린다. ♬ "It Sucks to Be Me" 

 

이성애자인 Nicky는 Rod가 게이인것 같다고 의심하며 너가 게이여도 괜찮다고 얘기해주지만, Rod는 자신이 게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 "If You Were Gay"

 

프린스턴은 태어난 해에 제작된 penny을 주우며 행운의 증표라 생각하고 삶의 목표를 찾기를 갈망한다.  ♬ "Purpose"

 

프린스턴은 Kate와 Trekki가 같은 Monster 성씨를 가지고 있어서 순수한 의도로 친척인지 물어보지만, 케이트는 화가 나서 프린스턴을 인종차별주의자라고 이야기한다. 그러자 놀란 프린스턴은 반박하고, 이들과 함께 이웃들은 사람들이 조금씩은 모두 인종차별주의자 라는 것에 동의한다.  ♬ "Everyone's a Little Bit Racist"

 

["The Internet Is for Porn" | 인터넷은 야동용 – Kate, Trekkie Monster, Brian, Gary, Rod, Princeton

["Mix Tape" | 녹음 테이프– Kate, Princeton

["I'm Not Wearing Underwear Today" | 오늘 난 노팬티 – Brian

["Special" | 스페셜 – Lucy

["You Can Be as Loud as the Hell You Want (When You're Makin' Love)" | (사랑을 나눌 땐) 마음껏 소리 질러 – Gary, Bad Idea Bears, Princeton, Kate, [Brian, and Christmas Eve

["Fantasies Come True"  | 꿈은 이루어져 – Rod, Kate, Princeton, Nicky

["My Girlfriend, Who Lives in Canada" | 캐나다에 사는 내 여자친구 – Rod

["There's a Fine, Fine Line" | 겨우 종이 한 장 차이 – Kate

 

 

- Act II -

 

"There Is Life Outside Your Apartment" | 집 밖에 진짜 인생이 있다 – Brian, Princeton, Christmas Eve, Gary, Nicky, Trekkie Monster, and Lucy

"The More You Ruv Someone" | 사랑하면 할 수록 – Christmas Eve and Kate

"Schadenfreude" | 샤덴프로이데(남의 불행은 나의 행복) – Gary and Nicky

"I Wish I Could Go Back to College" | 다시 대학교로 돌아가고 싶어 – Kate, Nicky and Princeton

"The Money Song" | 머니송 – Nicky, Princeton, Gary, Brian and Christmas Eve

"School for Monsters" | 몬스터를 위한 학교 – Trekkie Monster

"The Money Song" (Reprise) | 머니송(Reprise) – Nicky, Princeton, Gary, Brian and Christmas Eve

"There's a Fine, Fine Line" (Reprise) | 겨우 종이 한 장 차이(Reprise) – Princeton and Kate

"What Do You Do With a B.A. in English?" (Reprise) | 영문과를 나와서 뭘 할 수 있나?(Reprise) – Newcomer

"For Now" | 잠시뿐 – Kate, Brian, Gary, Princeton, Nicky, Rod, Christmas Eve, Trekkie Monster, Lucy, Bad Idea Bears, Company



 

 

 

반응형

+ Recent posts